본문 바로가기
삶의혜택

KBS 수신료 거부 방법 나만 해지안했네

by 우리 모두의 정보 2024. 2. 20.

KBS 수신료가 나도 모르게 빠져나가고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이런 사실이 인터넷을 통해 퍼져 나가면서 KBS 수신료 거부하는 방법이나 환불 방법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왜 근데 갑자기 이런 문제가 나왔을까요. 인터넷을 통해 퍼져나가고 있는 KBS 수신료 문제와 환불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KBS 수신료 인상

2.KBS 수신료 면제 대상

3. KBS 수신료 분리 징수 : 신청방법

4. KBS 수신료 안내는 방법 : 해지방법

5. KBS에 등진 사람들

 

 

 

 

 

KBS 수신료 인상

KBS는 지난달 27일 수신료를 기존 월 2500원에서 월 3840원으로 인상한다는 안건을 정기 이사회에 올린 바 있습니다. 그런데 이상하지 않습니까. 기존에 수신료가 월 2500원이었나요. 여러분들은 기존에 TV 수신료로 월 2500원이나 내고 있다는 사실을 아셨나요.

 

기존 수신료에 대한 내용도 처음 아는 분들이 많은데 게다가 수신료도 올린다고 하니 더더욱 황당하기 짝이 없습니다. 대부분의 국민들이 아마 이러한 사실을 모르고 계실 텐데요. 때문에 많은 이들이 KBS 수신료 폐지를 원하고 계실 겁니다.

 

연봉 1억에 수신료까지 인상?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국민의 힘 김웅 의원은 지난 29일 페이스북에 "KBS 직원의 60%가 연봉 1억 원 이상을 받고, 억대 연봉자 가운데 73% 이상이 무보직이라는 글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문제는 이에 반박하는 글을 올린 KBS 직원이 한 블라인드 앱에 올린 글로 번지게 되었습니다.

 

직장인 대나무 숲이라는 소셜 네트워크에 올린 KBS 직원의 글은 김웅 의원의 글에 반박하는 듯한 내용의 글을 올렸는데요. "우리 회사 가지고 불 많이 많다, 누가 머라 해도 정년보장되고 수신료는 전기요금 포함돼서 꼬박꼬박 내야 한다, 평균 연봉 1억이라 직원 절반이 1억 이상을 받는다, 능력 되면 사우 님이 돼라"는 다소 불쾌한 글을 남겼습니다.

 

KBS 직원이 직접 말했듯 우리가 보는 TV 수신료는 전기요금에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물론 TV도 전기로 사용되기 때문에 우리는 전기 요금을 내면서도 TV 전기 사용료로 알고 있지 별도의 TV 수신료가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그동안 내고 있었습니다.

 

KBS 수신료 안내도 되는 경우

 

KBS 수신료는 집에 TV가 없는 분들이라면 수신료 해지를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집에 TV가 있는 분들은 KBS를 보지 않는다고 주장해도 해지가 안됩니다. 본인이 진짜 KBS를 보지 않아도 믿을 수 없는 사항이기 때문에 일단 TV가 설치되어 있다면 수신료를 부담해야 합니다.

 

이와는 달리 집에 TV자체가 없는 분들이라면 해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요즘은 정규 3사 방송보다 OTT 서비스를 더 많이 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또한 스마트 기기를 TV와 연결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정규 방송을 이용하는 분들이 적은 것이 사실입니다.

 

이런 경우에 해당되는 분들이라면 KBS 수신료 해지 신청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물론 TV가 없는 가구 외에도 전력 소비 50 kWh 미만, 기초생활수급자 및 국가유공자, 독립유공자, 장애인 분들도 수신료가 면제됩니다.

 

KBS 수신료 분리 징수

 

한 때 말이 많았던 KBS 수신료 분리 징수가 지난 2023년 7월부터 시행되었습니다. 혹시 아직 세대에서 분리되지 않고 전기료와 함께 청구가 되고 있다면 분리 징수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기존에 요금 납부 방법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문의하시고 신청하시면 됩니다.

 

  • 자동이체 한 경우 : 한전 고객센터 123 전화 신청
  • 지정 계좌 : 전기요금 청구서에 표기된 지정 계좌에 전기요금과 수신료를 각각 구분하여 입금
  • 신용카드 : 한전 고객센터 123 전화 신청
  • 은행지로, 편의점, 가상계좌 : 수신료 분리 불가, 필요시 한전 고객센터 상담사 문의 후 납부 방법 변경 필요

 

KBS 수신료 안내는 방법

 

이번 KBS 수신료 인상과 관련된 문제가 퍼져 나가면서 수신료 해지, 안내는 방법과 같은 꿀팁 내용들이 인터넷을 통해 퍼져 나가고 있습니다. 실제로 환불을 받았다는 이들도 많고 어떻게 하면 환불을 받을 수 있는지 알려주는 사례도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심지어 KBS 수신료 거부 청원까지 일어나고 있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퍼져나가고 있는 KBS 수신료 거부하는 방법으로는 한전고객센터(국번 없이 123)에 전화하여, 상담원을 연결한 후(41) TV가 없으니 수신료를 없애달라고 요청하면 상담원이 여러 가지를 질문하고 추후 TV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날짜를 정하게 됩니다.

 

  1. 한전 고객센터 123 전화
  2. 상담원 연결 41번
  3. 상담원에게 KBS 수신료 해지 요청
  4. 몇가지 간단한 조사 및 응답
  5. 한전 고지서 계량기 번호(또는 집주소) 전달
  6. 집 전화번호 전달
  7. 한전에서 KBS에 분리고지 통지
  8. KBS 상담원 문의 및 조사
  9. 직원 방문 실태 조사(TV 설치 여부 등)

 

전화가 불편하신 분들은 한전에 수신료 거부 팩스를 보내셔도 됩니다.

KBS 수신료 해지 방법
KBS 수신료 해지 방법

 

전기요금에 포함된 TV 수신료는 TV가 있지만 안보는 경우는 거부할 수 없고 환불할 수 없다고 합니다. 때문에 본인의 집에 TV가 없다면 반드시 전화하여 수신료를 거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KBS 안 보고 만다

 

요즘 넷플릭스, 유튜브, 기타 종편방송 등 굳이 KBS가 아니더라도 볼거리는 넘치고 넘쳐나고 있죠. 때문에 시청자들은 차라리 안 보는 게 낫다, 넷플릭스나 보련다 등의 불만을 표하고 있습니다. 특히 공영방송인 KBS에 많이 실망한 시청자들은 더더욱 이번 사건을 통해 다른 채널로 많이 이동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상 오늘은 전기 요금에 포함된 KBS 수신료 인상과 불거진 문제로 수신료 거부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