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학 연금 수령액 조회 10년 20년 얼마일까
2023년 사학연금 수령액이 인상되면서 많은 분들이 자신의 사학 연금 수령액이 얼마나 될지 궁금해합니다. 사립학교 교직원분들의 사학 연금 수령액 조회는 간단한 본인 인증을 통해 빠르게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사학 연금 수령액 조회하기
사학 연금 수령액은 사학연금 어플 또는 사학연금 홈페이지를 통해서 조회 가능합니다. 스마트폰 모바일 어플을 이용한 조회 시에는 조회 시점 현재 기준으로만 조회가 가능하기 때문에 미래 퇴직 시점의 사학 연금 수령액이 궁금하신 분들은 PC에서 사학연금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조회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사학연금 홈페이지 접속
- 로그인
- 재직 교육원-나의연금
- 예상 퇴직 급여 조회 선택
사학 연금 수령 방법
사학연금은 일반 퇴직 연금과 비슷하게 일시금 또는 연금 형태로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일시금과 연금을 조합한 형태로도 수령이 가능합니다.
연금의 경우 임용 후 10년 이상 재직 시 65세 이상부터 사망 시까지 수령하게 됩니다. 사학연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사학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어야 합니다.
재직 기간이 10년 이상 되었다는 것은 사학 연금 가입 기간이 10년 이상 되었다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사학 연금 가입 기간이 10년이 안될 경우는 연금 수령이 불가능합니다.
10년을 채우지 못하고 퇴직하는 경우는 퇴직 일시금과 퇴직 수당을 신청해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 10년 이상을 충족한 경우 연금으로 받고자 한다면 퇴직 연금 및 퇴직 수당 청구서를 작성해서 신분증 지참 후 가까운 공단에 방문하시면 쉽게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정년 전에 퇴직을 한 조기 퇴직의 경우 또는 퇴직 후 수령 시기보다 더 빨리 사학연금을 받고 싶은 경우에는 최대 5년 정도 미리 연금을 신청하고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조기 퇴직 연금의 경우 1년에 5%씩 연금액이 감액되므로 최대 5년을 앞당겨 받을 경우는 25%가 감액되어 다소 아쉬운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급전이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조기퇴직연금으로는 받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사학연금 수령 시기
사학연금은 퇴직 연도에 따라 연금 수령 나이가 달라지게 됩니다. 과거에는 만 60세였지만, 지난 2022년부터 1년씩 늘어나고 있습니다. 때문에 퇴직하는 연도와 사학연금 수령 시기에 대해 알아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 2023년 : 만 61세
- 2024세~2026년 : 만 62세
- 2027세~2029년 : 만 63세
- 2030세~2032년 : 만 64세
- 2033년 이후 : 만 65세
사학 연금 평균 수령액 안내
사학 연금 수령액은 연령 및 재직 기간등에 따라서 달라지게 됩니다. 자신의 사학 연금 수령액은 위의 방법으로 확인해 보실 수 있으며, 연령별 전체 평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46세 미만~50세 미만 : 1,738,910원~1,869,559원
- 51세 미만~55세 미만 : 1,921,180원~2,135,037원
- 56세 미만~60세 미만 : 2,194,125원~2,594,062원
- 61세 미만~65세 미만 : 2,630,749원~2,816,902원
- 66세 미만~70세 미만 : 2,749,931원~2,998,678원
- 71세 미만~75세 미만 : 3,012,688원~2,983,047원
사학 연금 비용 부담
사학 연금은 사립학교 교직원을 대상으로 하며, 비용 부담은 가입 교직원과 학교 기간, 국가가 각각 특정 비율로 부담하게 됩니다. 개인부담금의 경우 일반적으로 월 소득액의 9% 정도 해당되며 사전에 원천징수로 먼저 납부되고 월급을 받게 됩니다.
<실시간 추천 베스트> |
노후 생활비 300만원부터 500만원까지 얼마나 마련해야 할까 |
퇴직 후 중장년 창업 지원금 자세히 보기 |
연봉 1 억 실수령액 현실 및 계산 방법 총정리 |
사학연금 수령액 조회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10년 20년 근무하신 분들의 경우 퇴직 시 자신의 수령액이 얼마나 되는지 조회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