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겨울철 실내 적정 온도 습도 및 난방비 절약 방법

by 우리 모두의 정보 2022. 11. 11.

겨울철 실내 적정 온도 습도 및 난방비 절약 방법

겨울철 실내 적정 온도와 습도에 대해 알아봅니다. 계절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특히 겨울철에는 실내 적정 온도와 습도를 관리해주는 것이 건강에 좋습니다. 그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겨울철 실내 적정 온도 

겨울철 추위 때문에 지나치게 높은 온도로 생활할 경우는 오히려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때문에 추운 겨울이라고 하더라도 실내 적정 온도와 습도를 맞춰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겨울철 실내 적정 온도는 18~20℃입니다.

 

추위를 많이 타지 않는 경우라면 겨울철 실내 적정온도는 18~20℃가 좋고, 추위를 타는 분들이라면 이보다 조금 높게 20~22℃까지 맞추고 생활하시는 게 좋습니다

 

그렇다면 왜 18~20℃일까요.

물론 계절마다 실내 적정온도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다만 겨울철의 경우 실내와 실외 온도가 너무 차이가 많이 발생할 경우 면역력이 떨어질 수 있어 겨울철 각종 질환에 쉽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특히 감기나 호흡기 바이러스에 의한 노출 위험이 있기 때문에 실내 온도를 조금 낮춰 생활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의 실내 온도가 너무 낮아 추울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 경우라면 내복이나 옷을 여러 겹 입는 것이 좋습니다. 내복을 입으면 우리 몸의 체감 온도는 3℃ 올라간다고 합니다. 내복으로 체온을 3℃ 올리고 보일러 난방 온도를 3℃ 낮추면 난방에너지는 20% 절감 효과까지 볼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 실내 온도 17℃??

올 겨울철 공공기관의 실내 평균 난방온도는 17℃로 제한한다고 밝혀진 바 있습니다. 전기 가스 요금 원가가 평소 대비 2배 이상 오르면서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시행되는 것이라고 하는데요.

 

일반적인 평균 적정 실내 온도보다 조금 더 낮춰서 관리하는 것은 물론 전력 사용이 가장 많은 오전 9~10시, 오후 4~5시에는 30분씩 난방기를 꺼서 에너지를 절약한다고 합니다

 

오늘부터 공공기관 겨울 실내온도 17℃ 제한…개인난방기도 금지

공공기관의 올겨울 실내온도가 17℃로 제한된다. 개인난방기 사용도 금지된다.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10월6일 서울에너지드림센터에서 16개 주요 공공기관장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www.edaily.co.kr

 

겨울철 실내 적정 습도

겨울철 실내 습도의 경우 40~60%로 관리해주는 게 좋습니다. 이 습도 또한 우리의 건강과 직결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온도 관리와 함께 신경 써주셔야 합니다. 특히 온도가 올라갈수록 습도는 떨어지기 때문에 집안에 온습도계를 놓고 관리해주는 게 좋습니다.

 

그렇다면 왜 습도를 40~60%로 관리해줘야 할까요. 

실내 습도는 바이러스나 세균의 서식과도 연관이 깊습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에 따르면 바이러스는 습도 40℃ 이하에서 활발해지며, 곰팡이의 경우 습도 60℃ 이상에서 서식하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때문에 겨울철 습도의 경우 40~60℃ 를 맞춰주는 것이 바이러스 및 세균 번식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겨울철 건강한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온도는 물론 습도도 관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 우리 집 가스 요금 조회하기

겨울철 도시가스 요금 조회는 삼천리서울 도시가스등의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보일러를 많이 틀어서 난방비가 걱정된다면 미리 조회해보시기 바랍니다. 

 

겨울철 적정온도 확인방법

보일러를 너무 오래 틀거나 높은 온도로 틀 경우 외부와의 온도 차이로 이해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유리창 부분에 결로 현상이 발생했다면 집안 온도가 너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나치게 높은 온도는 건강에 좋지 않으니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 실내 온도 조절 및 난방비 절약 방법

겨울철 난방비를 절감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실내 온도를 낮춰 생활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외부에서 들어오는 추위나 실내에서 빠져

 

때문에 지나치게 높은 온도로 보일러를 사용하기보다는 옷을 여러 겹 입거나 내복을 입는 것이 몸의 체온을 보존하는데도 좋고 난방비를 절감하는데도 효과적입니다.

 

집안에 새는 열을 체크하고 막아주는 것도 난방비를 절약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열 손실은 외벽과 창문에서 각각 39%, 32% 발생한다고 합니다. 문풍지나 에어캡 또는 커튼을 달아서 외부의 찬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맞! 이 정책] 에너지바우처 신청하고 냉·난방비 지원 받아요!

여름에는 시원하게, 겨울에는 따뜻하게 전기와 도시가스를 사용하세요 모든 국민이 집에서 편안하게 [신청기간] 2021.05.21.~2021.12.31. [신청대상]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

www.korea.kr

 

습도 유지를 위한 가습기 및 빨래 사용 시 주의사항

보통 실내 습도 유지를 위해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이 바로 가습기입니다. 가습기를 사용할 때는 3시간 이상 사용하지 않도록 하며 환기를 주기적으로 시켜주고, 가습기 청소 또한 주기적으로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보통 집안이 건조할 경우 빨래를 널어놓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빨래 세제나 섬유유연제의 성분으로 인해 천식이나 아토피 증세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습기나 빨래를 널어놓는 것보다 수건에 물을 묻혀 널어놓거나 식물을 키우는 것도 습도 관리에 도움이 된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온 급락… 커튼, 뽁뽁이 제대로 활용하는 법

기온 급락… 커튼, 뽁뽁이 제대로 활용하는 법 이해림 헬스조선 기자 계절은 가을이지만 날씨는 초겨울이다. 날이 쌀쌀해지면 창문을 걸어잠그게 된다. 찬바람이 드는 게 싫어서다. 그러나 실내

m.health.chosun.com

<실시간 추천 베스트>
처진 볼살 올리는 방법 3가지
검버섯 원인과 한번에 없애는 방법
피부 탄력 미용 기기 원리와 효과(카사업, 메디큐브, 듀얼소닉)

겨울철 실내 적정 온도와 습도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춥다고 지나치게 보일러를 많이 틀어 실내 온도가 높아질 경우 건강에 해롭습니다.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이가 많이 날 경우 면역력도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특히 실내 온도와 습도 관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