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온라인 전입 신고 방법, 대학생이나 원룸에 살아도 간편하게 신청하기

by 우리 모두의 정보 2022. 6. 4.

온라인 전입 신고 방법 알아보기

이사를 하게 되면 14일 이내에 전입신고를 해야 합니다. 만약 전입신고를 하지 않으면 아까운 과태료 5만 원이 부과되기 때문에 반드시 하는 것이 좋은데요. 대학생들이나 원룸에 사시는 분들도 예외는 아닌데요.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도 간편하게 전입신고할 수 있으니 아래를 따라서 신청하 실수 있습니다

온라인 전입신고 방법, 대학생이나 원룸에 살아도 간편하게 신청하기

이사 후 전입신고는 동사무소에 방문해서 할 수도 있지만 요즘에는 대부분 인터넷으로 많이 신청합니다. 특히 스마트폰으로도 공인인증서만 있으면 간단히 신청할 수 있어 온라인으로 전입신고를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많은 분들이 그냥 이사를 했으니까 전입신고를 하는 것이 당연하다 생각하지만 사실은 매우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임차인(세입자)의 보증금을 보호할 권리를 챙길 수 있기 때문인데요. 원룸이나 전세로 거주하시는 분들이 많은 만큼 나중에는 보증금을 돌려받으셔야 하는데요. 보증금의 액수가 크기 때문에 나중에 문제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사 후 전입신고 처리기간인 14일 이내에 전입신고를 해야 합니다. 

<실시간 추천 베스트>

└침대 방향 북쪽과 서쪽 신경쓰이는 이유 한번에 해결

└손 없는 날 뜻 이사 못할때 어떻게?

온라인 전입신고 하기

온라인으로 전입신고 방법은 먼저 정부 24 사이트를 통해 전입신고를 검색해서 신고하기를 선택하신 후 신청자 정보와 이사 전과 이사 후의 정보를 입력해주면 되는데요. 스마트폰의 경우 정부 24 앱을 이용하셔서 동일한 순서로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전입신고 절차

  1. 정부 24 홈페이지 및 정부 24 앱 설치 및 실행
  2. 전입신고의 신고하기를 선택한 후
  3. 공인인증서나 간편 인증을 통해 본인 인증을 거친 후
  4. 이사 전과 이사 후의 정보를 입력하시면 전입신고가 완료됩니다.
 

온라인 전입신고 앱

정부24는 정부의 서비스, 민원, 보조금24, 정책·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포털 입니다.

play.google.com

이사 후 온라인으로 전입신고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요즘 스마트폰을 대부분 많이 사용하시기 때문에 정부 24 앱을 통해 간단하게 전입신고하시기 바랍니다. 동사무소나 주민센터를 가기에 시간이 없거나 주말에 신고를 해야 하는 경우는 이렇게 온라인 전입신고 방법으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