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루베 계산법, 타설 면적에 따른 레미콘 차량 계산하기
건설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1루베 어떻게 계산할까요. 건설현장에 막 입문하신 분들이나 루베 개념에 대해 생소하신 분들이라면 한 번만 익혀두시면 어렵지 않게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1루베 계산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보통 콘크리트 타설 면적 등을 계산할 때 필요한 레미콘 차량을 계산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는데, 가로, 세로, 높이를 곱해주면 루베가 되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1루베 란?
1루베는 가로, 세로, 높이를 곱한 값으로 세제곱미터(㎥)를 의미합니다. 1 루베라고 하면 1세제곱미터(㎥)로, 가로, 세로, 높이가 모두 1m인 부피(체적)를 뜻합니다. 입방미터나 큐빅미터라고도 말합니다.
일본에서는 세제곱미터를 입방미라고 표현하는데 이를 일본식 발음으로 하면 류우베이가 됩니다. 일본말인 류우베이가 루베로 굳어지면서 생긴 건축 현장 용어입니다. 부피를 나타내는 단위로 보통 공사현장이나 레미콘 차량의 적재량, 가스의 사용량을 표현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1루베 계산법
1루베 계산법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가로, 세로, 높이를 m로 환산해서 서로 곱하면 됩니다. 루베는 기본 단위로 m를 사용합니다. 가로 3m, 세로 2m, 높이 5m인 체적을 루베로 표현하면 30루베가 됩니다.
만약 가로, 세로, 높이가 cm 단위로 되어 있다면 모두 곱해준 후 100으로 나누거나 또는 곱하기 전에 100으로 나눈 값을 곱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가로 30cm, 세로 20cm, 높이 50cm를 루베 계산을 위해 m로 변환해야 한다면 가로 0.3m, 세로 0.2m, 높이 0.5m라고 할 수 있습니다. m 단위 환산이 어려우신 경우는 단위 변환기를 이용하시면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레미콘 6루베
공사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레미콘 차량을 보면, 차량 뒤에 원통 모양으로 시멘트를 실은 원통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레미콘 차량은 기본 6루베입니다. 물론 모든 레미콘 차량이 6루베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3루베도 있고 9루베도 있습니다. 콘크리트 타설 현장의 상황과 면적을 고려하여 그에 맞는 레미콘 차량을 사용하게 됩니다.
레미콘 가격 한차 6루베 단가 정보 공유
레미콘 가격 한차 6루베 단가 정보 공유 공사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레미콘, 콘크리트를 운송하는 이 레미콘 한차의 가격은 얼마일까요. 레미콘 한차는 6루베의 부피를 갖는데 루베당 레미콘
sesang100004.tistory.com
콘크리트 타설 루베 계산하기
만약, 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해야 하는 면적이 가로 10m, 세로 10m, 높이 1m라고 한다면 100루베가 됩니다. 이 경우 레미콘 차량은 타설이 필요한 면적 100루베를 6루베로 나누면 대략 17대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레미콘 차량이 17대 필요한 것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1루베 계산법은 가로, 세로, 높이를 m(미터) 단위 기준으로 곱해주면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부피를 나타내는 단어로 어원은 일본어에서 왔다고 합니다. 건설현장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는 단어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