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화장품 유통기한 확인 사이트 제조번호 및 사용기한 조회

by 우리 모두의 정보 2023. 4. 21.

화장품 유통기한 확인 사이트 제조번호 및 사용기한 조회

화장품에도 유통기한이 있습니다. 보통은 화장품 용기에 표기가 되어있지만 지워지거나 보이지 않는다면, 화장품 유통기한 확인 사이트를 통해 쉽고 빠르게 조회가 가능합니다.

화장품 유통기한 확인 사이트

체크코스메틱 사이트

 

 

 

 

 

화장품의 유통기한을 확인할 수 있는 체크코스메틱 사이트를 이용하면 화장품의 제조일자는 물론 유통기한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화장품 용기에 표기가 되어 있지만 수입화장품이거나, 유통기한이 지워졌거나, 따로 쓰여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 사이트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특히 시세이도나 바이레도와 같은 해외 브랜드의 향수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이 사이트를 통해 유통기한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체크코스메틱 사이트 접속 후 브랜드 선택 및 화장품의 일련번호를 입력하면 내가 알고자 하는 유통기한이 언제까지 인지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체크프레시 사이트

또는 체크프레시 사이트를 이용해서 화장품의 유통기한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사이트로, 화장품 브랜드별로 어떻게 확인해야 하는지 확인 방법도 안내해주고 있어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화장품 제조 일자 및 유효기간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사이트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의 유통기한은 보통 1년 정도이지만, 화장품 종류나 성분, 개봉 및 보관 상태에 따라서 유통기한이 달라지게 됩니다.

 

화장품 유통기한 확인 사이트
화장품 유통기한 확인 사이트

 

화장품법 유통기한 표기

화장품법 제2절 제10조에 따르면 화장품의 1차 또는 2차 포장에는 화장품의 제조번호와 사용기한 또는 개봉 후 사용기간을 표기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특히 개봉 후 사용기간을 기재할 경우에는 제조연월일을 함께 표기하도록 명시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사용 기한이란 화장품이 제조된 날부터 적절한 보관상태에서 제품이 고유의 특성을 간직한 채 소비자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간을 뜻합니다.

 

화장품 유통기한 지난 지 얼마 안 되었다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유통기한은 말 그대로 시장에서 유통될 수 있는, 거래가 허용되는 기간을 뜻합니다.

 

사실상 소비자가 해당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기한하고는 조금 다른 개념입니다. 보통은 사용기한이 유통기한보다 더 긴 편입니다. 때문에 유통기한이 조금 지난 경우라면 실제 제품을 사용하는데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우리가 먹는 식품에서 많이 영향을 받습니다. 화장품 역시 이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화장품에 표기가 되고 있는 유통기한은 말 그대로 시장에서 거래가 허용되는 유통기간으로, 만약 유통기한이 지난 지 얼마 되지 않은 경우라면 화장품의 사용기한이 더 길기 때문에 사용을 해도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지나치게 오래되었거나 얼마 지나지 않았어도 제품에 변질이 발생한 경우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화장품 종류에 따른 유통기한 조회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화장품의 유통기한은 일반적으로 기초 화장품의 경우 12개월, 눈을 제외한 색조 제품의 경우 18개월, 아이라이너나 마스카라 등 눈 주변 제품의 경우 6개월 정도입니다.

 

물론 개봉 후를 기준으로 이 정도의 유통기한을 갖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개봉을 하게 되면 상온에 노출되어 화장품의 변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너무 오래 방치된 화장품, 유통기한이 지난 화장품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당연히 유통기한 전이라도 화장품에 이상이 생겼다면 과감히 버리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자칫 너무 오래된 화장품을 사용하게 되면 피부에 반점이 피어오르거나 붉게 변하는 등 이상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화장품 종류 유통기한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등 기초 스킨 케어 제품 1년 이내
클렌저 1년~1년 6개월 이내
마스크 즉시 사용
자외선 차단제  1년 이내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제품 1년 이내
파우더, 팩트 2년 이내
아이섀도, 블러셔 1년 이내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6개월~1년 이내
립스틱, 립글로즈, 립틴트 6개월~1년 이내

기초화장품 유통기한

가장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에멀전이나 세럼, 크림 등의 기초화장품류는 유통기한이 개봉 후 1년입니다.

 

특히 여성분들의 경우 퍼프를 자주 사용하실 텐데요. 이 퍼프의 경우는 개봉 후 1주 기간 이내로 사용해 주고 교체해 주는 것이 좋으나, 세척을 하셔서 사용하시면 한 달 정도는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마스카라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개봉 후 6개월 정도까지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화장품 개봉 전 유통 기한

개봉하지 않은 미개봉 상태의 화장품의 경우 유통기한이 2년~3년 정도로 길게 잡아도 됩니다. 미개봉 상태이기 때문에 상온에 노출되지 않아서 화장품의 변질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에센스, 수분크림, 아이크림, 단지형 크림, 자외선차단제, 가루형 아이섀도나 블러셔, 아이라이너, 립스틱, 틴트 등은 미개봉 상태일 경우 3년, 그 외 스킨이나 로션, 마스카라 등은 2년 정도의 유통기한을 갖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장품 성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 만큼 가급적이면 구입 후 정해진 유통기한 내에 사용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통기한 지난 화장품 활용 방법

화장품을 자주 구입하고 관심이 많은 여성분들이라면 화장품을 사놓고 얼마 사용하지 않고 방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1년 2년 방치되다 보면 유통기한이 지나게 됩니다.

 

특히 몇 번 사용하지 않고 1년이 지나서 방치된 화장품을 보면 써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이 되기도 합니다. 만약 개봉한 지 1년이 넘은 화장품은 유통기한이 지났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피부에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이렇게 유통기한이 지난 화장품의 세균이나 박테리아가 번식하면서 피부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유통기한이 지난 화장품은 마른 수건이나 헝겊에 묻혀 가구나 가죽 광택제로 사용하거나 얼룩을 제거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조건 버리기 아깝다면 이러한 활용 방법을 통해 남아있는 화장품을 사용하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유통기한 지난 화장품 재활용 꿀팁

[THISCovery]화장품광택제·얼룩제거제 등으로 변신

www.hani.co.kr


화장품 유통기한 확인 사이트를 통해 조회한 결과 너무 오래되었다면 피부에 사용하지 말고 다른 방법으로 재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